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동산 정보27

내용증명 작성방법!!(우체국,발송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내용증명 작성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업무를 하다보면 내용증명을 작성할 일이 종종생기곤합니다. 임차인과 임대인 관계에서도 발생하고, 매도인과 매수인의 관계에서도 발생합니다. 최근에 내용증명에 관한 문의를 받아 궁금해하실분들이 많을것같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 내용증명이란? ◎ 내용증명이란 소송으로 가기전 마지막으로 하는 의사표현을 하기위한 내용입니다. 작성내용은 법적 효력은 없으며, 상대방에게 이러이러한 내용으로 소송을 진행할것이다 라고 통보하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되니다. 살다보면 여러가지 상황에서 분쟁이 발생할수 있는데, 민사분쟁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이 내용증명입니다. 작성하실때는 감정은 최대한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작성해야합니다. 관련내용을 육하원칙에.. 2023. 11. 10.
전세계약 가계약금 반환여부 총정리(매매계약 포함)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전세/월세 계약에서 많이 등장하는 가계약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집을 구하러 다니시다보면 유독 마음에 쏙드는 집이 있어 찜해두고 싶으실때 많으실겁니다. 중개인은 일단 다른사람에게 뺏길지 모르니 가계약금을 넣자라고 해서 500만원이든 1000만원이든 선지불하신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계약서를 쓰기전에 먼저 돈을 지불하고 계약을 할 수 있는 우선권리는 확보하는것이죠 . 본계약서를 작성하기전에 먼저 문자양식으로 계약으로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내용을 주고 받고, 협의된 날짜에 만나서 본계약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본계약서를 쓸때는 보통 매매/전세가격의 10% 정도를 계약금으로 지불하게 됩니다. 계약은 이런식으로 진행이되지만 현장에서 집을 보다가 마음에 들어서 바로 계약서를 작성할수 없.. 2023. 10. 31.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권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우선 변제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금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경매의 배당순서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경매시 배당순서 ※ 1. 경매비용 ( 감정가의 약 1%의 금액 ) 2. 필요비용,유익비 3. 소액임차인의 최우선변제금 ( 최우선변제금 : 임대차 보호법상 소액보증금 중 일정액 ) 4. 순위 배당 - 조세채권 (당해세포함) / 담보물권(저당권,전세권,담보가등기 등) / 대항력있는 임차인 5. 우선변제,임금채권 제외 일반 임금채권 6. 담보물권 보다 느린 조세채권 7. 각종 공과금 8. 일반채권 ( 대항력없는 임차인,가압류,가처분 등 ) ◎ 최우선변제금 ◎ 최우선변제금이란 세입자가 살던 집이 경/공매로 넘어갔을시 은행등의 선순위 권리자보다 앞서서 배당을 받을수 있는.. 2023. 10. 23.
주택 전전세,전대차 계약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전세와 전대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흔하게 깔세라고도 표현하는경우도 많은데 전전세와 전대차는 분명하게 다른부분이 있습니다. 그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 전전세 ◎ 전세입자란 전세에 임차인과 동인한 뜻이며, 임대인으로부터 건물(주택)을 제공받아 일정기간 계약에 따라 그것에 머무는 사람을 뜻합니다. 즉, 아파트 전세금을 주고 아파트에 거주중인 사람이 전세입자입니다. 전세를 살아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전세입자의 유형은 크게 2가지입니다. ①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를 한 세입자 보통 많은경우가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를 하는 세입자입니다. 계약서를 작성하고 확정일자를 받은 뒤, 이사를 하고 전입신고를 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하면 세입자는 후순위 권리에 대하여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생기게 됩니다... 2023. 10. 19.
근저당권이 설정된 집의 전세계약시 주의사항!!(매매계약,융자있는집 전세)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전세계약시 을구에 저당권(융자) 있는 집을 계약할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요즘 서울기준 아파트 시세를보면 평균 10억원정도의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있습니다. 즉, 아파트살때 집담보대출을 받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담보대출을 실행해 집을 매수하고, 실거주하다가 전세를 주고 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경우 새로 들어갈 세입자는 융자있는 집에 전세계약을 하게되겠죠? 요즘 전세계약의 대부분이 이런형식이기때문에 전세계약을 체결하는 많은 집들에 저당권이 잡혀있기 마련입니다. 그럼 등기부등본 을구에 저당권이 있는 집의 전세계약이나 매매계약시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 근저당권이 설정된 집의 전세계약 ◎ 부동산 전세를 구할때 부동산을 통하여 집을보고, 마음에 들어서 계약까지 .. 2023. 10. 18.
증여세 세율정리!!(자녀,부부,배우자,형제간,손자,현금 증여세율)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족간 증여세에 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집값이 폭등함에 따라 상속세보다 증여세에 대한 문의가 많습니다. 보통 증여의 경우 부부,형제(자매),자녀,미성년자녀,사위,며느리 로 볼수있습니다. 가족 간 증여세율이 어떻게 다르고, 면제한도를 토대로 다양한 유형에 따라 납부 세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해보겠습니다. ◎ 증여세란 ? ◎ 증여세는 국세의 일종으로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에 그 재산을 증여받은자가 부담하는 세금을 뜻합니다. 무언가를 대가 없이 받는것에 대한 세금입니다. 이런점에선 상속세와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8~2019년 세법개정으로 가족간의 계좌이체도 증여로 간주합니다. 원칙은 부모자식,부부사이등 에도 계좌거래에서 증여가 아니라는것을 증명하지 못한.. 2023. 10.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