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세계약주의사항2

근저당권이 설정된 집의 전세계약시 주의사항!!(매매계약,융자있는집 전세) 안녕하세요 . 오늘은 전세계약시 을구에 저당권(융자) 있는 집을 계약할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요즘 서울기준 아파트 시세를보면 평균 10억원정도의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있습니다. 즉, 아파트살때 집담보대출을 받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담보대출을 실행해 집을 매수하고, 실거주하다가 전세를 주고 나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경우 새로 들어갈 세입자는 융자있는 집에 전세계약을 하게되겠죠? 요즘 전세계약의 대부분이 이런형식이기때문에 전세계약을 체결하는 많은 집들에 저당권이 잡혀있기 마련입니다. 그럼 등기부등본 을구에 저당권이 있는 집의 전세계약이나 매매계약시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 근저당권이 설정된 집의 전세계약 ◎ 부동산 전세를 구할때 부동산을 통하여 집을보고, 마음에 들어서 계약까지 .. 2023. 10. 18.
전세계약서 작성시 주의사항 꿀팁!!(전세계약 특약사항,담보비율)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세계약서를 작성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요즘 전세사기도 정말 많고, 2년전에 높은 전세금으로 계약을하여 보증금을 못돌려 받는 경우도 정말 많습니다. 전세계약서를 작성하는방법은 계약하시는 부동산에서 잘 이끌어 주실테니 우리는 세입자에게 꼭 필요한 특약사항과 전세계약을 하기전에 안전한지에 알아볼 수 있는 꿀팁을 알려드릴게요. ◎ 등기부등본 확인을 통한 담보비율 ◎ 전세계약을 하고자하는 호수의 등기부를 열어봅니다. 가장 첫번째로 해야할건 을구의 저당권 확인하는것 입니다. 얼마의 채권최고액(근저당)이 잡혀있는지 가장중요합니다. 잡혀있는 근저당으로 채권최고액을 계산하여 70%이상 되는 집이라면 계약을 안하는걸 고려해봐야합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내가 계약할 전세보증금 + 채권.. 2023. 8. 10.
728x90
반응형